본문 바로가기
정보

[스마트 스토어 입점] 1 사업자등록증 만들기

by 리치나무 2022. 4. 23.

다양한 부업들이 많습니다. 그중에 온라인 스토어 운영이 직장인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특히 네이버에서 운영하는 스마트 스토어가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입점은 정말 어렵지 않습니다. 자격 조건이 없습니다. 쉽다고는 하지만 또 그렇지 않은 것이 인터넷 세상입니다. 입점을 위해서는 사업자 등록증 발급 신청이 우선입니다. 공인인증서가 있다면 정말 쉽게 가능합니다. 

 

 

지금 컴퓨터 앞에 계신다면 홈택스를 검색하여 <국세청 홈텍스> 홈페이지에 들어 오시면 됩니다. 회원 가입을 하신 후 로그인을 하시면 됩니다. 화면을 크게 한 이유는 어떤 경우에는 첫 화면부터 찾지 못한 기억이 생각나서 혹시나 하여 크게 캡처하였습니다. 다음 사진부터는 작게 나올 것입니다.

 

첫 화면 오른쪽 중간쯤 세금 종류별 서비스가 있습니다.

여기에 반명함 사진 포즈 <사업자등록>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빨간 박스 표시하였습니다. 

 

이제 왼쪽 3개의 별이 있는 곳에서 <(개인)사업자등록 신청>을 클릭합니다.

여기서 잠깐!! 상호명은 미리 정하셨습니까?

정하셨다면 쉬지 않고 진행 하겠습니다.

 

 

다음 화면으로 인적사항과 업종 선택, 사업장 정보, 임대차 내역 등 요구하는 창이 나옵니다.

먼저 인적사항 빨간 별은 모두 입력합니다. 

 

 

그리고 업종 선택입니다.

참고로 업종코드는 전자상거래 소매업은 525101, 해외직구 대행업은 525105입니다.

혹여나 스마트 스토어 상품 판매가 아닌 경우이거나 이 코드를 믿지 못해 확인하신다면 

전체 업종 내려받기 파일이 바로 옆에 있으니 차분한 마음으로 커피 한잔 놓고 보시기 바랍니다.

분류 많습니다.

 

 

 

사업장 정보 입력에 기본정보 <개업 일자> 필수 입력 사항입니다.

바로 아래 임대차 내역 입력입니다.

대부분 부업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거주주택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됩니다.

제조업이 아니면 자가 주택으로 사업장을 할 수 있습니다.

사업장이 있다면 부럽습니다.

그런데 주택이 자신의 소유이면 추가 서류가 필요 없지만

동거인 즉 가족 명의라면 임대차계약서나, 무상임대사용승낙서 등

임대를 하였다는 서류가 필요합니다.

참고하여 진행하면 수월합니다.

 

마지막 사업자 유형 선택입니다. 여기도 대부분 <간이> 과세자로 선택합니다.

나중에 매출이 높아지면 과세자로 변동됩니다.

그때의 일입니다. 변경되길 기원합니다.

첨부파일을 입력하면 신청 절차가 마무리됩니다.

이후 1일에서 2일 후 문자를 받고 사업자등록증을 출력하시거나 직접 수령하면 됩니다. 

 

참고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가 있습니다. 일 년간의 총매출이 8,000만 원 이하인 경우는 간이과세자입니다.(2022년 2월 10일 기준) 8.000만 원 넘는다면 일반과세자입니다. 시작 단계에는 간이과세자로 하는 것이 세금납부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그리고 인터넷 사용이 어려우신 경우 관할 세무서에 방문하면 사업자등록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준비 서류는 등록신청서, 대표자 신분증, 임대차 계약서(해당사항 체크) 대리인이 가면 위임장, 인감 등 더 많이 필요합니다. 본인이 가는 게 정말 편안합니다. 

 

 

 

반응형
LIST

댓글